티스토리 뷰
여러분은 파일을 열 때나 작업을 할 때 무엇을 가장 많이 사용하시나요? 워드도 많이 사용하시겠지만 우리나라에선 아마도 한글 워드 프로세서(hwp)를 가장 많이 이용하지 않을까 추측해 보건대, 개인적으로 전, 노트북을 맥북으로 바꾸면서 그동안 잘 사용해 왔던 한글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프로그램들을 사용하다 보니 여러 가지로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맥북 사용자 중, 저와 같은 불편을 겪고 계시는 분들께 맥북에서 무료로 한글 파일을 열고 편집하고,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맥북에서 한글 파일 편집하기
먼저 한컴 독스로 가주세요. 바로 이곳에서 한글과 컴퓨터의 한컴 오피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로 회원 가입을 하지 않고 카카오톡이나 네이버로도 손쉽게 로그인을 할 수 있으니 편리합니다.
로그인을 하면 보이는 아래 화면에서 상단의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맥 OS용 한글 문서뿐 아니라 WIndows용 한컴오피스, Windows용 한 PDF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파일 다운로드가 끝나면 한글 문서를 열어볼 수 있는데, 한글뿐 아니라 엑셀, 파워포인트등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한글뷰어에서처럼 단순히 파일을 열어 내용을 확인하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서 수정, 편집이 가능해 편리합니다.
한컴독스 한글 파일 사용방법
아래 이미지 우측 중간에 보이는 [문서 업로드]를 통해 내가 열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그럼 메인창에 내가 열고자 하는 파일이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업로드된 파일을 클릭해 바로 hw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에서 사용했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정, 편집을 하고 문서 작업이 다 끝났다면 왼쪽 상단의 [저장하기]를 누르거나 [파일]을 눌러 인쇄나 pdf 로도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저장을 한 PDF 파일은 보통 내 컴퓨터의 C:\Users\Downloads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다시 메인 화면으로 돌아와 파일명 우측에 있는 점 세 개를 누르면 파일 이름 변경은 물론, 다운로드, 공유, 삭제가 모두 가능합니다.
한컴독스를 알고 나서부터는 Windows 에서처럼 편리하게 한글문서를 사용하게 된 만큼 여러분도 꼭 사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추가로 한컴독스에서 이 방식으로 한글을 사용했는데 사용기한이 종료되었다며 더이상 한글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편집이 되질 않는다면 아래 박스를 클릭해 [한컴오피스 web 체험하기]를 눌러 같은 방식으로 한글을 사용할 수 있어요. 단, 이 때는 인터넷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맥북 화면캡쳐 화면 녹화 방법
여러분은 어떤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을 사용하시나요? 전 일 년 정도 전부터 맥북 에어를 사용 중인데요, 명성만큼이나 여러 작업들을 할 때 참 편리하다 느끼고 있어요. 다만 이전의 윈도 운영
zwei.janehari.com
맥북 트랙패드 사용감 업그레이드 하기
맥북의 트랙패드는 맥북에서 마우스의 역할을 하는 입력 장치입니다. 이를 이용해 클릭 또는 더블 클릭을 할 수도 있고 화면이나 이미지를 확대나 축소를 할 수도, 파일을 드래그할 수도 있는데
zwei.janehari.com